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초간호20

운동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아주 중요한 운동은 운동 주체에 따라 능동운동과 수동운동, 보조적 능동운동으로 분류할 수 있고 근육길이에 따라서는 등장성 운동, 등척성 운동, 등속성 운동으로 그리고 산소소비에 따라 무산소 운동과 유산소 운동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운동 주체에 따른 분류 능동운동(active exercise): 환자가 스스로 근육을 수축시켜서 하는 운동 수동운동(passive exercise): 마비 환자 등 환자가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경우 수동적으로 운동을 제공하는 것 보조적 능동운동(active-assistive exercise): 환자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은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부분은 수동으로 운동을 제공하는 것 근육길이에 따른 분류 등장성 운동(isotonic exerci.. 2023. 8. 1.
환자식과 식사보조 식사는 영양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치료의 일부가 될 수 있는데 병원에서 제공하는 식사의 종류와 식사를 보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볼까 합니다. 식사의 종류 일반식(nomal regular diet:NRD): 일반식은 우리가 평소에 먹는 음식으로 소화가 잘 되지 않는 튀김이나 양념이 강해 자극이 심한 음식은 제외시킬 수 있습니다. 경식(right diet): 경식은 반 고형식으로 소화가 잘되도록 간단하게 조리한 식사를 말합니다. 다진 반찬 등을 포함하며 튀김이나 기름진 음식, 생야채나 생과일, 가스를 많이 생성하는 옥수수, 무, 양배추, 오이, 양파, 콩, 고추 등은 제외시키며 일반식과 경식의 차이는 제외되는 음식의 유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연식(soft diet:SD): 섬유질이 적게 들어 있고 .. 2023. 6. 26.
섭취량과 배설량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은 환자가 수분을 적절하게 섭취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하며 수분을 섭취한 만큼 배설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배뇨 습관과 비뇨기계의 기능, 이뇨제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이 필요한 경우 수술 후 금식 상태로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하고 있는 경우, 심한 화상 과도한 배액이 있는 상처가 있는 경우, 금식 환자, 정맥주입 환자, 유치도뇨관 삽입 환자, 특별한 배액장치 또는 위장관 흡인 환자, 이뇨제나 강심제 뇌압강하제를 사용한 환자, 수분정체가 심해서 수분을 제한해야 하는 환자, 수분 소실이 과도한 환자, 필요한 수분량을 섭취하지 못하는 환자 등의 경우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이 필요합니다. 사전 준비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는 목적과 .. 2023. 6. 22.
멸균법 멸균이란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을 사멸하는 것으로 신체의 조직이나 혈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물품들에는 멸균이 필요합니다.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멸균 방법에는 고압증기멸균법, 건열멸균법, 가스멸균법, 화학멸균이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고압증기 멸균법입니다. 지금부터 하나하나씩 정리해 볼게요. 고압증기멸균: 고압증기멸균은 압축된 증기로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압력밥솥을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독성이 없고, 멸균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으며, 비용이 저렴하고, 한꺼번에 많은 물품을 처리하는게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실용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멸균법입니다. 외과수술용 기구나 가운, 면직류, 도뇨세트, 치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치경과 유리제품에도 적용되는데 깨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 2023.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