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초간호20

약리작용2 약물의 병용효과 상가효과(additive):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병용하여 얻은 효과가 두 약물의 효과를 합한 것만큼 나타나는 경우 (1+1=2) 상승효과(synergistic):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병용하여 얻은 효과가 각 약물의 효과의 합보다 큰 경우 (1+1=3 이상) 길항효과(antagonistic):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병용할 때 각 약물의 작용이 감소하거나 상쇄되는 경우 치환효과(displacement): 한 약물이 수용체 부위에서 다른 약물을 대치하여 원래 약물의 작용을 증가시키는 효과 간섭작용(interference): 한 약물이 다른 약물의 배설을 촉진시키는 기전으로 작용을 감소시키는 경우 약물의 연용 효과 약물 알레르기: 개인의 민감성에 따라 나타나는데 투여한 약물의 작용과 전.. 2023. 5. 11.
투약 투약 시간: 항생제, 결핵의 화학요법제, 항고혈압제, 인슐린, 이뇨제 등은 일정한 혈중 농도를 유지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처방된 투약 시간을 반드시 지키도록 한다. 투여 용량 한량: 아무 효과가 없는 양 최소 유효량: 약효가 있는 최소량 상용량(=치료량): 보편적 용량 최대유효량(=극량): 위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최대량 중독량: 중독을 일으키는 양 내량: 중독은 일으키지만 죽지는 않는 양 치사량: 먹으면 죽는 양 약의 특성 식전: 신속한 전체 작용을 기대할 때, 불쾌한 맛을 가지는 약일 때 약을 식전에 복용하게 된다. 강장제, 건위제, 식욕증진제, 고미제, 진해제, 구충제 등이 식전에 복용하는 약이다. 식간: 식후 2시간 정도에 복용하며 이뇨제, 강심제가 해당된다. 효과가 빠르다. 식후: 서서.. 2023. 5. 11.
약리작용 약물이 생체기능에 영향을 미쳐 변화를 주는 작용을 약리 작용이라고 한다. 국소작용과 전신작용: 약물의 작용범위에 따라 국소 또는 전신 작용으로 나누며 약물 투여 후 적용된 부위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약리작용을 국소 작용이라 하고, 적용부위에서 혈액으로 흡수되어 혈류를 통해 전신에 분포되어 나타나는 것을 전신 작용(=흡수작용)이라 한다. 직접작용과 간접작용: 약물의 작용발현 순서에 따라 직접 또는 간접 작용으로 나누며 약물이 조직이나 기관에 직접 접촉하여 일으키는 작용을 직접 작용(=1차 작용)이라 하고 약물이 직접 작용하지 않고 2차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를 간접작용(=2차 작용)이라 한다. 일반작용과 선택작용: 약물이 흡수되어 전신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를 일반작용이라 하고 특정 조직이나 장기에 강하게 작용하는.. 2023. 5. 11.
약물 약물은 질병을 치료하고 통증 및 불편함을 제거하고 질병을 진단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약물의 구비조건 인체에 해가 없으며 안정성 강도 효과가 있어야 한다. 발암 현상이 없어야 하며, 치료 효과가 있어야 한다. 선택성이 있어야 하며 값이 싸야 한다. 약물의 형태는 약물을 사용하는 방법과 그 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경구형, 주사형, 도포형, 흡입형 기타 등으로 분류합니다. 1.경구형 캡슐(capsule): 가루 또는 액체 형태의 약을 싸고 있는 젤라틴 용기로 불쾌한 맛과 향을 막아 투약이 용이하도록 해준다. 캡슐의 분해 시간이 달라 약효가 나타나는 시간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캡슐이 손상될 경우 효과가 변화될 수 있다. 엘릭시르(elixir): 약물을 알코올과 물에 녹인 액체로 색소와 .. 2023.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