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간호

약리작용

by 달비C 2023. 5. 11.
반응형

약물이 생체기능에 영향을 미쳐 변화를 주는 작용을 약리 작용이라고 한다.

  • 국소작용과 전신작용: 약물의 작용범위에 따라 국소 또는 전신 작용으로 나누며 약물 투여 후 적용된 부위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약리작용을 국소 작용이라 하고, 적용부위에서 혈액으로 흡수되어 혈류를 통해 전신에 분포되어 나타나는 것을 전신 작용(=흡수작용)이라 한다.
  • 직접작용과 간접작용: 약물의 작용발현 순서에 따라 직접 또는 간접 작용으로 나누며 약물이 조직이나 기관에 직접 접촉하여 일으키는 작용을 직접 작용(=1차 작용)이라 하고 약물이 직접 작용하지 않고 2차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를 간접작용(=2차 작용)이라 한다.
  • 일반작용과 선택작용: 약물이 흡수되어 전신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를 일반작용이라 하고 특정 조직이나 장기에 강하게 작용하는 경우를 선택작용이라 하며 선택작용이 강할수록 그 약물의 사용 가치는 높다.
  • 치료작용, 부작용 및 독작용: 약물의 투여 의도대로 바람직한 작용을 하는 것을 치료 작용이라 하고 약물의 본래 작용 이외에 예측하지 않은 다른 작용을 부작용이라고 한다. 부작용 중 약물을 고용량으로 장기 복용 시 또는 배설 장애로 체내에 축적이 발생한 경우 생명에 위험을 주는 작용을 독작용이라고 한다.
  • 흥분작용과 억제작용: 생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이 촉진되는 작용을 흥분작용이라 하며 이와 반대로 기능이 완화되는 작용을 억제작용이라 한다.

약물이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약물이 흡수, 분포되고 대사, 배설되어 그 작용 부위에 절절한 치료 농도로 존재 해야한다. 체내 약리작용 기전은

  • 흡수(absorption): 흡수는 약물이 투여 후 혈류 내로 들어가는 과정으로 약물의 투여 경로와 약물의 용해도, 크기 및 형태, 체액의 pH, 투여된 조직의 혈류량, 약물의 용량 등에 영향을 받는다. 
  • 분포(distribution): 분산은 약물이 혈액 속으로 들어와 작용 부위까지의 이동 과정으로 체중, 혈액순환의 변화 등의 영향을 받는다.
  • 대사(metabolism): 대사는 약물이 생체 내에서 변화되는 과정으로 배설이 용이하도록 비활성화된 형태로 전환된다. 대부분 간(약물의 대사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에서 세포 내의 약물 대사성 효소들이 약물을 분해하며 이 과정에서 생긴 산물을 대사산물이라 한다.
  • 배설(excretion): 비활성화된 대사산물과 약물이 체외로 배출되는 과정으로 주로 신장에서 이루어진다. 호흡, 땀, 침, 눈물, 모유 등으로 배출되기도 한다.

 

약리 작용은 여러 요인에 의하여 변화되므로 약리작용, 부작용, 상호작용 등 여러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여 처방하여야 한다. 약리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연령, 체중, 성별, 투여 시간 및 경로, 체질,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있다.

  • 연령: 영유아나 어린이는 성인과 비교하면 간과 신장의 기능이 미숙하여 소량의 약물을 투여하게 된다. 또한 노인들 역시 생리적 기능이 성인보다 감소하여 적은 약물을 투여해야 한다.
  • 체중: 보통 용량은 나이 18~65세, 체중 60~90kg을 기준으로 50%에서 효과를 나타내는 평균 용량을 말하며 체중이 적은 사람, 체격이 작은 사람 등은 약물의 독성이 크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적게 투여하여야 한다.
  • 성별: 여성과 남성의 지방조직 비율 또는 혈액량 차이에 의해 약물 용량은 다르게 투여하여야 한다.
  • 투여 시간 및 경로: 일반적으로 정맥투여, 근육주사, 피하주사, 경구투여의 순서로 시간이 느리게 나타나며 경구투여는 비경구투여보다 투여량이 증가하는 대신 부작용은 적다. 정맥투여는 흡수시간이 빠르고 소량으로도 효과는 높지만 부작용이 큰 단점이 있다.
  • 체질: 각각의 유전요소나 환경에 의해 개인차가 있어 투여된 약물의 효과에 차이가 나타난다.
  • 심리적요인: 투약에 대한 대상자의 신념은 약물 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플라세보(placebo=위약)효과는 약리작용이 없는 물질이지만 환자의 심리적인 반응으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환경적 요인: 환자의 정신적, 신체적 상태에 따라 약물대사는 영향을 받는다. 또, 온냉의 환경 노출도 약물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반응형

'기초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양소-비타민  (0) 2023.05.15
영양소-열량소  (0) 2023.05.12
약리작용2  (0) 2023.05.11
투약  (0) 2023.05.11
약물  (0) 2023.05.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