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여러 가지 음식물을 섭취하여 살아가고 있는데 우리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에 필요한 세포를 구성하거나 생명 활동에 필요한 물질로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는 영양소라고 합니다.
열량소는 생체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열량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와 생체조직을 구성하는 구성소(무기질, 지방, 단백질, 물)과 생활기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조절소(비타민 무기질, 단백질, 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열량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탄수화물
우리 몸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흡수율이 높고 섭취하여 이용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아서 매우 효율적인 에너지원입니다. 근육운동을 할 때 가장 먼저 에너지 운으로 사용되면서 뇌세포와 적혈구는 포도당만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뇌의 기능 유지를 위해 꼭 섭취해야 합니다.
탄수화물은 1g당 4kcal의 영양을 공급하며 WHO에서는 인간의 총섭취량의 60~65%를 탄수화물을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는데 탄수화물이 부족하면 단백질이 에너지원으로 쓰이게 되기 때문에 케톤증, 근육단백 파괴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1일 최소 50~100g은 섭취해야 합니다.
탄수화물은 소장에서 포도당(글루코오스), 과당, 갈락토오스 등의 단당류로 흡수되며, 간에서 글리코겐으로 전환된 후 간과 근육에 저장됩니다.
탄수화물의 분류
- 단당류: 당질의 최종산물로 혈액에 존재하는 형태의 당으로 혈당이라 하는 포도당과 단맛이 가장 강하고 과일과 꿀에 풍부한 과당, 포도당과 결합하여 유당의 형태로 존재하는 갈락토오스가 있습니다.
- 이당류: 포도당과 과당이 결합한 사탕수수나 사탕무에 있는 자당(설탕), 포도당과 포도당이 결합한 곡류나 전분의 엿당(맥아당), 포도당과 갈락토오스의 결합으로 포유동물의 젖에 있는 유당이 있습니다.
- 다당류: 식물성 다당류로 감자, 쌀, 옥수수 등에 함유된 전분, 동물 몸속 간과 근육에 저장된 글리코겐, 주로 식물의 세포벽에 있으며 식물의 형태를 유지하는 섬유소(식이섬유)가 있습니다.
2. 지방
지방은 농축 에너지원으로 총칼로리 섭취량의 20~30%를 차지한다. 지방은 체내 신진대사를 조절하며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돕고 체온조절에 관여하고 세포막의 성분이며 신체 내부의 장기를 보호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방은 1g당 9kcal의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소화기관에 오래 머물러 포만감을 줍니다. 지방의 흡수는 췌장액의 리파아제와 담즙의 유화로 소장에서 이뤄지며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되어 흡수됩니다.
지방의 분류
- 불포화지방산(HDL콜레스테롤): 식물이나 어류에 있고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불포화 지방산은 혈전증과 심근경색증을 감소시키며 과다하게 섭취했을 시 면역계 기능손상, 지혈억제, 장기출혈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 포화지방산(LDL콜레스테롤): 체내에서 합성이 가능한 비필수지방산으로 상온에서 고체의 형태로 존재하는데 너무 많이 섭취하면 동맥경화, 혈전증가, 체지방증가, 비만, 성인병, 심혈관질환, 뇌혈관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 필수지방산: 신체의 성장, 유지 및 생리적 과정에 있어 정상적 기능에 필요하며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으므로 식품으로 섭취해야 합니다.
3. 단백질
성인의 체중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단백질은 근육, 뼈와 연골, 피부, 조직, 혈액과 체액에 함유되어 조직을 형성하고 재생(상처 회복)하며 항체를 생성하며 탄수화물과 함께 열과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단백질은 1g당 4kcal의 열량을 공급하는데 위의 펩신과 췌장의 트립신 소장의 에립신으로 위와 소장에서 아미노산과 질소 노폐물로 분해 되어 소장에서 흡수되고 간으로 운반됩니다.
단백질의 분류
- 필수아미노산: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음식물로 얻을 수 있는데 아르기닌, 히스티딘, 이소류신, 류신,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트립토반, 발린의 10종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아르기닌과 히스티딘은 어린이에겐 필수아미노산이지만 어른에게는 필수가 아닙니다.
- 비필수아미노산: 생체 대사로 합성되는 비필수아미노산엔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시스틴, 시스테인, 글루탐산, 글루타민, 글리신, 프롤린, 세린, 티로신 등이 있습니다.
동물성 단백질(완전 단백질)엔 필수아미노산의 함유가 높지만 식물성 단백질은 불완전 단백질로 필수아미노산이 부족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