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약물의 병용효과
- 상가효과(additive):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병용하여 얻은 효과가 두 약물의 효과를 합한 것만큼 나타나는 경우 (1+1=2)
- 상승효과(synergistic):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병용하여 얻은 효과가 각 약물의 효과의 합보다 큰 경우 (1+1=3 이상)
- 길항효과(antagonistic):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병용할 때 각 약물의 작용이 감소하거나 상쇄되는 경우
- 치환효과(displacement): 한 약물이 수용체 부위에서 다른 약물을 대치하여 원래 약물의 작용을 증가시키는 효과
- 간섭작용(interference): 한 약물이 다른 약물의 배설을 촉진시키는 기전으로 작용을 감소시키는 경우
약물의 연용 효과
- 약물 알레르기: 개인의 민감성에 따라 나타나는데 투여한 약물의 작용과 전혀 다른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어떤 약물에 대한 감수성이 있어 약물 투약 시 나타나는 면역적인 반응을 뜻한다. 약물 알레르기의 예로는 발진, 발열, 천식 등이 있으며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형태의 알레르기 반응으로 아낙필락시스성 과민증(anaphylactic hypersensitivity)이 있는데 투여 즉시 호흡곤란, 심혈관 허탈 등의 반응을 보이게 된다.
- 축적작용: 너무 잦은 투약, 과용량, 약물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다른 약물이나 화합물의 동시 복용할 경우 약물이 체내에 고농도로 축적되어 중독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를 축적작용이라 한다.
- 약물 의존성: 약물을 오랫동안 사용하다가 투여를 중지할 때 정신적 육체적으로 그약을 갈망하게 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헤로인, 모르핀 등의 마약류가 있다.
- 금단증상: 의존성이 생긴 약물을 갑자기 중단했을때 나타나는 극도의 신체적 증상이다.
- 내성: 약물을 장기간 반복 투약할 경우 특정 약물에 대한 대사작용이 낮아져 치료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량을 증가해야하는 현상이다.
약물의 오용과 남용
- 약물 오용: 흔히 사용되는 약물을 자가 처방하여 부적절하게 사용하여 급, 만성의 독성을 초래하게 되는 현상을 약물 오용이라 한다.
- 약물 남용: 의도적으로 약물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코올, 각성제, 진정제 및 신경안정제 등의 약물을 부적절하게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감정이나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 금단증상: 의존성이 생긴 약물을 갑자기 중단했을 때 나타나는 극도의 신체적 증상이다.
약물 투여 시 관찰 및 확인 사항
- 모르핀이나 데메롤은 호흡 억제 작용이 있어 투약 전 반드시 호흡수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디곡신을 투여할 때 관찰해야 할 것은 서맥으로 서맥시 의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 코마딘(와파린), 헤파린과 같은 항응고 약물은 응고시간을 확인한 후 투여한다.
- 이뇨제는 칼륨을 체외로 배출시키므로 저칼륨혈증 확인 후 투여한다.
- 좌약은 항문으로 삽입한 후 20~30분 정도 배변을 참도록 한다.
- 환자가 투약을 거부할 때는 투약 거부 이유를 사정하고 투약이 될 수 있도록 환자를 설득하며, 그 후에도 거부할 시에는 환자의 의사를 존중하고, 의사에게 투약이 안 된 사실을 보고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