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약물은 질병을 치료하고 통증 및 불편함을 제거하고 질병을 진단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약물의 구비조건
- 인체에 해가 없으며 안정성 강도 효과가 있어야 한다.
- 발암 현상이 없어야 하며, 치료 효과가 있어야 한다.
- 선택성이 있어야 하며 값이 싸야 한다.
약물의 형태는 약물을 사용하는 방법과 그 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경구형, 주사형, 도포형, 흡입형 기타 등으로 분류합니다.
1.경구형
- 캡슐(capsule): 가루 또는 액체 형태의 약을 싸고 있는 젤라틴 용기로 불쾌한 맛과 향을 막아 투약이 용이하도록 해준다. 캡슐의 분해 시간이 달라 약효가 나타나는 시간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캡슐이 손상될 경우 효과가 변화될 수 있다.
- 엘릭시르(elixir): 약물을 알코올과 물에 녹인 액체로 색소와 향을 첨가하여 만든 것이다.
- 함당정제(lozenge): 설탕과 혼합하여 만든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정제이다. 빨아먹을 수 있도록 만들어 입 안에서 녹으며 약효를 나타낸다.
- 환제(pill): 한 가지 이상의 약물을 혼합하여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만든 약제로 복용을 용이하게 해준다.
- 분말가루(powder): 한 가지 이상의 분말로 된 약물로 변질의 우려가 적고 소아가 복용하기 쉽다.
- 시럽(syrup): 감미제를 첨가하여 불쾌한 맛을 감추어 복용하기 쉽게 해준다.
- 물약(solution): 가루약을 물에 녹인 것으로 흔들어서 사용해야 한다.
- 정제(tablet): 분말 형태의 약제를 압축하여 크기, 중량, 모양을 여러 가지로 만든 형태로 용해도나 흡수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피막 처리가 용이하다.
2. 주사형
- 정맥(IV): 혈관에 직접 약물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응급상황에서 즉각적 효과가 필요하거나 대사되지 않아 정확한 용량의 투여가 필요할 때 투여한다.
- 피하(SC): 국소적인 반응을 유도하거나 위장관에서 불활성화 약물을 투여할 때 사용한다. 주로 인슐린 주사, 예방접종 시 많이 이용된다.
- 근육(IM): 경구로 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약물의 신속한 효과가 필요할 때 투여한다.
3. 도포형
- 크림(cream): 약물을 포함한 반고형의 수용성 물질로 피부에 문질러 사용한다.
- 로션(lotion): 현탁물질을 포함한 수용성 물질로 피부를 청결히 하거나 부드럽게 하기 위해 피부에 문지르거나 두드려 발라 사용한다.
- 연고(onitment): 한 가지 이상이 혼합된 반고형성 약제로 피부나 점막에 사용한다.
4. 흡입형
- 스프레이(spray): 액체 형태 약제를 적용 부위에 균일하게 분무하여 흡입한다.
- 내뷸라이저(nabulizer): 액상 약제를 에어로졸 상태로 만들어 흡입한다.
5. 기타
- 좌약(suppository): 젤라틴과 같은 단단한 약제로 만든 고형 약제로 직장, 질, 요도 내에 삽입하여 흡수할 수 있다.
- 패치(patch): 약이 고여있는 형태와 약이 스며들어 있는 형태로 나뉘며 주로 금연이나 진통 등의 목적으로 붙여서 사용한다.
약물의 유형
- 대용제(substitutive): 체내 물질 또는 체액 대용으로 사용한다. 예로는 인슐린 티록신 등 호르몬 제제가 있다
- 강장제(restorative): 비타민 등이 이에 해당하며 신체의 건강을 회복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 화학요법(chemotherapeutics): 암세포의 파괴 목적으로 사용된다.
- 지지제(supportive): 다른 치료를 하기 전에 신체 반응이 회복되기까지 신체 기능을 지지해 주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 완화제(palliative): 진통제나 해열제 등 질병 자체의 치료에는 효과가 없으나 질병의 증상을 완화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 치료제(curative): 항생제 항암제 등 질병을 치료하고 상태를 호전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약물의 보관 및 저장
- 약물은 일반적으로 30℃ 이하의 서늘하고 통풍이 잘되며 직사광선을 피해 어두운 곳에 보관한다. 냉소에 보관하지 않으면 약효를 상실하는 약물인 예방용 백신, 생체추출물, 혈청 등은 냉장고에 보관하며 냉장고의 온도가 2~5℃ 정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 약물은 항시 뚜껑을 닫아 보관하고 약병에서 덜어낸 약은 다시 넣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 마약이나 마취제는 법적 제한을 받으므로 이중 잠금장치가 있는 약장에 보관한다. 매 근무 시 사용량과 잔여량을 조사하여 인수인계를 철저히 하고 마약장 열쇠는 수간호사 혹은 책임간호사가 보관하며 남은 마약은 약국으로 반납한다.
- 유효기간이 지난 것은 간호사에게 보고하여 처리(모든 약의 처리는 약사가)한다.
- 침전물이 있거나 변색된 약은 사용하지 않는다.
- 백신 냉장고의 온도 점검은 하루에 적어도 2회를 하며, 기록한 온도의 보존 기간은 2년이다.
용기의 종류
- 밀봉용기: 약물을 취급하거나 또는 보관 중에 기체나 미생물의 침입의 염려가 없도록 멸균상태로 만든 용기(바이알, 앰플 등)
- 밀폐용기: 약물을 취급하거나 보관하는 동안 약품이 손실되거나 파손 및 이물질 혼합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종이상자, 종이봉투 등)
- 기밀용기: 약물 내용이 액체, 고체인 것에 수분의 침입, 손실이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용기(유리병, 플라스틱 용기 등)
- 차광용기: 약물을 빛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목적의 포장을 한 용기(갈색병, 차광지로 포장된 용기 등)
약물 표시
- 일반약: 흰 바탕에 검은색 테두리를 한 표지에 검정색으로 약품명을 기록한다.
- 극약: 흰 바탕에 붉은색 테두리를 한 표지에 붉은색으로 약품명, '극'자를 기록한다.
- 독약: 검정 바탕에 흰색 테두리를 한 표지에 흰색으로 약품명, '독'자를 기록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