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은 환자가 수분을 적절하게 섭취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하며 수분을 섭취한 만큼 배설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배뇨 습관과 비뇨기계의 기능, 이뇨제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이 필요한 경우
수술 후 금식 상태로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하고 있는 경우, 심한 화상 과도한 배액이 있는 상처가 있는 경우, 금식 환자, 정맥주입 환자, 유치도뇨관 삽입 환자, 특별한 배액장치 또는 위장관 흡인 환자, 이뇨제나 강심제 뇌압강하제를 사용한 환자, 수분정체가 심해서 수분을 제한해야 하는 환자, 수분 소실이 과도한 환자, 필요한 수분량을 섭취하지 못하는 환자 등의 경우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이 필요합니다.
사전 준비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는 목적과 방법을 알아 둬야 하는데 환자에게 제공하는 식이종류 및 수분량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이 하루에 필요로 하는 수분의 양을 어떻게 관찰할지 계획을 세우며 기록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하고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증상에 대해서 잘 알아두어야 합니다. 또한 마시는 양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이 있는 용기와 각 용기 측량표 I&O기록용지(intake&output work sheet)와 소변량을 측정하기 위한 용기를 준비하고 침대 옆에 기록지를 붙여 환자가 먹고 배설하는 모든 것을 기록하도록 보호자를 교육하는데 측정단위는 ml나 cc를 이용합니다.
섭취량 측정
섭취량에는 수혈, 경구 섭취한 물이나 음료 등, 복막 주입액, 정맥주사, 위관 영양 시 주입된 용액, 밥이나 반찬 등 고체 형태 음식의 수분을 포함합니다.
배설량 측정
배설량 측정 시에 포함되는 사항으로는 소변, 설사, 젖은 드레싱, 심한 발한, 상처배액량, 구토, 과도 호흡 시 수분 소실량, 출혈 등으로 정상 대변이나 호흡 시 수분 소실량, 발한, 가글액 등은 배설량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포함시킬 수 없습니다.
영아의 경우는 기저귀 무게를 측정하고, 일반적으로 소변량을 측정할 시에는 소변기에 배뇨하여 측정합니다. 유치도뇨관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8시간마다 비워서 양을 측정하며 8시간마다 배설량을 계산하는데 밤번 근무자가 24시간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게 됩니다. 24시간 동안 정상적인 배뇨의 양은 1000~1500cc이며 시간당 25cc이하 하루 600cc이하일 경우에는 보고가 필요합니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할 때는 일반적으로 섭취량은 전부 포함을 시키지만 배설량의 경우에는 제외되는 항목이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하고 배설량보다 섭취량이 많을 때는 부종이나 몸무게의 증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수분을 제한한다거나 이뇨제를 투약한다거나 저염식이를 하는 등의 방법으로 부종을 줄일 수 있고 섭취량보다 배설량이 많을 때는 수액을 맞는다거나 영양을 보충하여 탈수가 오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