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간호

내분기계

by 달비C 2023. 5. 18.
반응형

 호르몬이라고 보통 많이 듣고 쓰는 말인데 호르몬은 우리 몸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요? 내분비계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세포나 조직으로 이루어진 기관을 말합니다. 어떤 조직에서 어떤 호르몬을 분비하여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지금부터 정리해 볼게요.

 

  1. 뇌하수체: 간뇌의 시상하부 바로 아래에 있는 뇌하수체는 전엽과 후엽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 전엽에서는 성장호르몬, 갑상샘자극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성선자극호르몬, 젖샘자극호르몬(프로락틴)이 분비되고 후엽에서는 옥시토신과 항이뇨호르몬이 분비됩니다. 성장호르몬은 혈당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뼈의 형성과 성장을 촉진하여 성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인데 과잉 분비되면 거인증(성장기), 말단비대증(성장이 끝난 후)이 되고 부족하면 난쟁이가 됩니다. 호르몬이 작용을 미치는 기관을 표적기관이라고 하는데 갑상샘자극호르몬은 갑상샘이 표적기관이며 갑상샘호르몬이 티록신과 칼시토닌을 분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은 표적기관이 부신피질로 부신피질호르몬을 분비하도록 부신피질을 자극하는 역할을 하고 성선자극 호르몬은 여성에겐 난포의 성숙과 에스트로겐의 분비를 촉진하며 남성에겐 고환을 자극하여 정자를 생산하도록 하는 난포자극호르몬과 여성의 배란을 촉진하고 난소에서 프로게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하고 남성의 고환에서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하는 황체형성호르몬 2종류가 있습니다. 젖샘자극호르몬은 유선을 발달시키고 유선을 자극하여 유즙 생산을 촉진하고 옥시토신은 분만 시 자궁벽을 수축시키고 수유기에는 유즙을 방출시키는 기능을 하고 항이뇨호르몬은 혈압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분비가 많을 시 고혈압 분비가 적을 시는 저혈압과 요붕증이 유발됩니다.
  2. 갑상샘: 나비 모양으로 후두와 기관의 바로 앞에 있으며 티록신과 칼시토닌을 분비합니다. 티록신은 신진대사를 촉진하는데요 티록신이 많이 분비되면 기초대사가 올라가서 많이 먹어도 체중이 감소하게 됩니다. 반대로 티록신이 적게 분비하게 되면 기초대사가 내려가서 식욕도 없는데 체중이 증가하게 되죠. 항진증으로는 그레이브스병, 저하증으로는 크레틴병과 점액수종이 있습니다. 칼시토닌은 혈액의 칼슘을 뼈로 보내서 혈액의 칼슘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3. 부갑상샘: 갑상샘 좌우엽 뒷면에 위치하는데 칼슘 대사를 조절하는 부갑상샘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갑상샘에서 분비되는 칼시토닌과 길항작용을 하여 혈액 속에 칼슘과 인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4. 부신: 신장의 상단에 있는 한 쌍의 기관으로 부신피질과 부신수질로 나누어지는데 부신피질에서는 혈당을 증가시키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고 항염증과 항알레르기 작용을 하는 당질코르티코이드와 나트륨의 재흡수와 칼륨의 분비를 촉진시켜 혈압과 혈중칼륨 농도에 영향을 주는 염류코르티코이드,  남성의 2차성징에 관여하는 성호르몬 안드로겐을 분비하고 부신수질에서는 혈당의 농도 및 심박동수를 증가시키고 심근 수축력을 높여 세기관지를 확장하고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에피네프린과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키는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하는데 이 두 호르몬은 긴장, 두려움, 스트레스와 같은 감정에 의해 분비가 촉진됩니다. 
  5. 췌장: 소화효소를 분비하기도 하여 외분기계와 내분기계의 2중역할을 하는 췌장은 랑겔한스섬에서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는데 인슐린은 혈당을 저하시키고 글루카곤은 혈당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6. 송과선: 뇌실의 지붕에 달린 원뿔 모양의 작은 기관으로 멜라토닌을 분비해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을 합니다.  멜라토닌은 생활주기를 조절하는데 밤시간 동안 많이 분비 됩니다.
  7. 성선: 여성의 난소와 남성의 고환으로 여성의 난소에서는 여성의 2차성징에 관여하는 에스트로겐(감소시 골다공증의 원인)과 임신을 유지시켜주는 호르몬 프로게스테론을 생성하고 남성의 고환에서는 남성의 2차 성징을 나타나게 하며 성적 자극, 남성생식기의 발육 등을 돕는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합니다.

 내분비계와 내분비계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을 봤는데 내분비계 이외에도 내분비 세포를 포함하는 기관 심장, 흉선, 간, 위, 소장, 신장 등에서도 호르몬을 분비한다고 합니다. tv에서 많이 본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 렙틴은 지방조직에서 분비한다고 하네요. 정말 호르몬은 종류도 기능도 많은 것 같습니다.

반응형

'기초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중증  (0) 2023.05.21
쇼크  (0) 2023.05.20
질환별 식이  (0) 2023.05.17
영양소-무기질, 수분  (0) 2023.05.17
영양소-비타민  (0) 2023.05.15

댓글